Cranes, steel structures, and a big heap of ground describes the scene that is under construction. In the artist's works, what makes a big contrast here are the dolls which look like totally unrelated images.

A man should wear a costume and play a doll, so the doll is actually a man wearing a doll's clothing. It seems that the dolls are specifically related to the site they are at, but they pose in a very natural, comfortable way as if they were at the site from the first. The dolls with men inside, and the adults inside are the ones responsible for their poses, their movements. At times we feel that the dolls, walking around in their costumes at street or an amusement park, look like "adults." Dolls are not supposed to be adult-like, but that's how we actually find.

Away from a construction site are a blue sky, clouds, forests and trees. So the stuffed animals, which show themselves at a site filled with apartment buildings and a heap of ground, even look like a new "strain" from a construction site. An idea of "Stuffed animals at a construction site" is ridiculous and even kitsch itself, but looking at them twice, we find that they actually go well with the background. For instance, a stuffed tiger mowing the mountains and crawling the ground goes well with high-rise apartments, and a magician with his magic wand looks like a parking attendant in a parking lot which is jam-packed. A stuffed red bunny sitting at a heap of ground is smiling a innocent smile, but no children's sensitivity is there. It appears that the stuffed animals with their innocent faces have nothing to do with construction site, but we actually have a strange feeling here, because it shows a reality that men destroy nature for the sake of their desires under the name of development. These "adult" dolls are far away from children's fantasy, but they are there, adapting themselves to their rapidly-changing world.

Reporter Choi Yoo Jin



포크레인과 철골 구조물, 수북이 쌓인 흙더미 등은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인 현장의 모습이다. 작가의 작품에서는 이러한 공사현장의 분위기와 대조적이다 못해 다소 뜬금없기까지 한 인형의 출현이 포인트다.

이 인형은 사람이 들어가서 옷을 입고 연기를 해야 하는, 그러니까 인형의 탈을 쓴 사람인 셈이다. 여러 인형들은 공간과 특정한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 마치 원래 그 공간에 있었던 것처럼 자연스런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인형들은 그 안의 들어가 있는 사람, 즉 어른의 움직임대로 포즈를 취한다. 때때로 길거리나 놀이공원에서 반갑게 손을 흔드는 이 인형들의 가식적인 행동에서 '매우 어른적인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어디에서도 아이다움을 찾아볼 수 없는 인형들에게 어른들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공사현장 저 멀리에는 맑은 하늘과 구름, 숲과 나무 등의 모습이 보인다. 그 사이로 솟은 아파트와 높이 쌓인 흙더미 사이에 모습을 드러낸 동물인형들은 마치 신도시 건설현장에서 생겨난 새로운 변종 같은 느낌이다. '공사현장에 출현한 인형들'이라는 우스꽝스러운 설정은 그 자체만으로도 키치적이지만 보면 볼수록 배경과 너무 잘 어울리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산을 깎고 공사를 준비중인 터를 기고 있는 호랑이는 산보다 그 뒤에 들어선 고층 아파트와 더 잘어울릴 것 같고 차가 빼곡히 들어선 주차장에 출현한 요술봉을 쥔 마법사는 주차요원 같아 보인다. 흙더미 위에 앉아있는 빨간 토끼는 천진한 척 미소를 날리지만 결코 아이의 감성은 아니다. 순진한 얼굴을 하고 있는 이 인형들은 건설현장과 이질적일 것 같지만 계발, 발전이라는 미명하에 자연을 파괴하고 욕망을 세우는 현실과 그리 동떨어져 보이지 않는 모습은 묘한 느낌을 풍긴다. 판타지로서의 동심이나 환상과는 거리가 먼 이 인형들은 어른들만큼 익숙한 자태로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변해가는 현실에 적응하며 살아간다.

최유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