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Seung Jun Photo Exhibition "Extra Dimensions"

Dolls often act as toys for children. Children do a role play with them, reflect their emotions on them, or think them as their friends, treating a doll as a "man" to a certain extent. To people, a doll is more than just a toy or something to play with.
Dolls are sort of avatars of people. In modern society they became reflections of human desires, including little girls and other people. Some people found way of escaping from the reality through their dolls. Not only children but adults have interests in dolls, and especially in arts, the artist make dolls convey their message and emotions.
There are several artists who used dolls, which are similar to us in form, at their works. Hans Bellmer reflected subconscious desires and oppression which are distorted through cut and twisted bodies of the dolls. And Bernard Faucon created his own world with life-size dolls and his unrealistic world is where he pursues his desires instead of a real world. As illustrated, dolls often become media for people to show their desires.
This is same for the dolls from Lee's works. Lee's exhibition at Kunstdoc Gallery has twelve parts of photographs with large character dolls. He took pictures of the outskirts of Seoul such as Pangyo and Dongtan, where the new cities are under construction and he considers the places as a mecca of capitalism in the future.
Heungdeok Bear #8 shows a hideously destroyed nature where a tunnel is under construction. A stuffed character with smile makes a sharp contrast to the surrounding nature destroyed by human desire. Gwangkyo Parrot#4 shows a construction site where they are building a road. A stuffed alien harmonizes with the background, the dark sky, giving unreality to a seemingly ordinary scene and reflecting invisible desires. Likewise, from his work Dongtan Magician#3, Lee created a ironic scene which has a reality and desires, by showing a magician doll at apartment buildings and a parking lot filled with cars, which exposures illogical ills of capitalistic desires.
Lee's exhibition made the construction sites for new towns into "extra dimensions" by placing dolls, and he brought up negative aspects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through this, he attempted true communication. Lee's works remind us of reality of our society by looking back our daily lives within capitalistic structure filled with desires, and from daily sceneries he shows, we get an opportunity to find what is the essence of life.

Kim Jiae, the Curator of Kunstdoc



  이승준 사진전 <여분 차원 : Extra Dimensions>

인형은 흔히 아이들에게 장난감으로 기능한다. 아이들은 인형을 이용하여 역할극을 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투영하기도 하며, 친구로 여기기도 하는 등 인형에 일정한 인간성을 부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인형은 사람들에게 단순한 장난감, 오락거리 이상의 의미를 내포한다.
인형은 인간에게 있어 일종의 분신 같은 존재이다. 인형은 현대 사회에 들어오면서 어린 소녀들을 비롯한 현대인들의 욕망의 반영체가 되었고, 인형을 통해 현실을 벗어나는 계기를 삼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형에 대한 관심은 아이들에게서 그치지 않고 어른들에게도 이어지며, 특히 미술의 영역에서는 작가들에게 감정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인간과의 형태적 유사성을 이용해 작품 활동을 벌인 작가들의 예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스 벨머(Hans Bellmer)는 무의식의 근저에 자리잡은 욕망과 억압을 인형에 투영하였다. 절단되고 뒤틀린 모형은 왜곡된 인간의 욕망을 대변해준다. 그런가 하면 베르나르 포콩(Bernard Faucon)은 실물 크기로 제작된 인형을 통해 그만의 세계를 재창조하기도 하였다. 그가 만들어낸 비현실적 공간은 현실 세계를 대신해 욕망을 추구하는 공간이다. 이처럼 때로 인형은 인간 욕망을 대변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이승준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형들이 바로 그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쿤스트독 갤러리에서 열린 이승준의 이번 전시는 대형캐릭터 인형을 소재로 한 12개의 사진 작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의 사진 작품들은 판교, 동탄 등 새로운 신도시가 한창 건설되고 있는 서울 근교 지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에게 이 장소들은 미래의 자본주의 메카로서 간주된다.
<Heungdeok Bear #8>에서 이승준은 터널을 뚫기 위해 흉물스럽게 파헤쳐진 자연을 보여주고 있다. 한켠에 자리잡은 캐릭터 인형의 미소 띤 얼굴은 욕망으로 인해 파괴된 주변 환경과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 <Gwangkyo Parrot#4>에서는 한창 도로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외계인 형상의 인형은 어둡게 처리된 배경 하늘과 어우러지면서 평범해 보이는 건설 현장에 비현실성을 더하고 실체 없는 욕망을 담아낸다. 이와 마찬가지로 작가는 <Dongtan Magician#3>를 통해 빽빽한 아파트 단지와 자동차로 가득한 주차장과 마법사 인형을 병치시킴으로써 현실과 욕망이 공존하는 아이러니컬한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이는 동시에 자본주의적 욕망의 비논리적 병폐를 폭로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신도시 개발 현장에 인형이 더해져 자본주의의 ‘여분차원’으로 환원시킨 이번 전시는 현대 한국 사회의 일그러진 단면을 끄집어내고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소통을 가능케 하고자 하였다. 욕망으로 점철된 자본주의 구조 속에 자리한 일상을 되돌아보며 우리 사회의 현주소를 다시금 일깨워준 이승준의 사진 작업을 통해 관람객들은 스쳐지나가는 주위 풍경 속에서 삶의 본질을 찾아볼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김지애 <쿤스트독 큐레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