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will be ‘engraved’ on you as a mark of love.
‐ The recognition of ‘broken love’ in Lee Seung Jun’s photographs

As the medium of photograph is a produc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t inherently finds its primary principles in technological rationality and efficiency.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inciple is the reason that photograph is defined as ‘technological reproduction’ or ‘objective indicator.’ Therefore, it is not so reasonable that we see a photograph and are seized with ‘complex and delicate human feelings’ such as yearning, compassion, happiness, sorrow, joy and regret. Rather, we should wonder how we fall in inexpressible feelings like crying and smiling because of a photograph, which is merely an image produced by a mechanical instrument. We should call it ‘nonsense’ for one to cherish his or her lover’s photograph in the wallet or on the head of the bed in place of the lover and make a fetish of the photograph. However, it is as natural as breathing that you and I feel something from a photograph. Or precisely speaking, we want to be submerged voluntarily into some image of love or a special temporary emotional state ‘through’ a photograph. We are eager to be enveloped by a moment in the past captured by a photograph. This is why we take so many photographs, look at them over and over again, and treat them carefully although they are merely the images of passing moments. In addition, we sometimes tear a precious photograph or burn a one‐and‐only photograph because (contrary to our mind) we try to get out of ‘the power of the photograph provoking the feeling’ of love‐and‐hat or a vain hope.

Lee Seung Jun’s <After Love: Broken Up Couples Project> is interesting in that it captured human feeling, which is unfathomably complicated and delicate and even sometimes antinomic, at the moment of ‘being photographed.’ What is more interesting, however, is that the ‘photographed’ subjects are broken‐up couples. As the title suggests, the central motive of the artist’s recent photographs is defined as ‘After Love’ or plainly speaking ‘Broken Love.’ The artist coldheartedly catches moments ‘after’ the break of love, which has been subtle, precious and pretty like a glass or a ceramic doll.
The cruelty of the <After Love> works is found, first, in the fact that couples who have been so sweet and happy but are now irrecoverably broken were brought in front of the camera angle. Second, it is ‘cruel’ to present the hyperbolic curve of joy and sorrow in or the deep estrangement between ‘the broken couple of a man and a woman,’ who were almost forced to be photographed together,’ objectively without the artist’s subjective judgment. Thus, <After Love> may look like a light melodrama describing stories ‘after’ the break of love, but in fact it is a cold‐headed report of feeling reproduced ‘along’ the line of love and presented before our eyes. It is a photograph report demanding us to read the current state of the abstract emotion of love.
Accordingly, Lee Seung Jun’s photographs should be read as ‘perceptual images’ reproducing the inexplicable and most sensitive and delicate feelings using a mechanical instrument rather than as overly kind and sensational ‘Cyworld‐type’ images that open sequels to someone’s love affairs. They are perceptual images that enable us to feel, recognize and realize the feeling of love, which is strong but volatile, sweet but bitter, and happy but extremely painful.
For example, <Jo So‐yeong_Seo Man‐dong at Imone, Gileum Market> shows one of the artist’s students and his old lover. The two persons, who once might have been very close to each other, are seated with a look ‘feeling unfamiliar and awkward with each other.’ In another photograph, one person gazes at the other with a look of love and hate as if having a lingering attachment to the opposite but the opposite looks up the sky with a gesture of ‘tiredness.’ There is also a couple who feel regret for their hasty separation in the past but now cannot nullify it and just are standing uneasy, and another couple are perplexed with what they are doing ‘together’ (being the subjects of the artist’s photograph). However, the most strange, contradictory and still plausible ‘broken‐up couples’ are those who take a pose properly in front of the camera as if they are models or think that ‘life is pictorials.’ We cannot see any glimpse of feeling of love in a woman smiling under green light with a hand holding cocktail at a party of its high time and a dandy‐fashion man behind her.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he broken‐up couple’s emotion looks unusual. Rather, it means that they do not give any feeling or look merely artificial. This is like we are somewhat distracted by the advertisement image of male and female stars who act as a couple but do not experience any real feeling, or like the image just stirs up a vain desire toward goods rather than giving the feeling of love that I have experienced.

In this sense, Lee Seung Jun’s <After Love> seems not photographs cast our secret personal emotion of love with film particles. Moving a step forward, they induce us to realize by ourselves how to respond and what to desire when we are changed to an image of a mechanical instrument and when we are faced with a reproduced image. A photograph is a trace and indicator of existence (being). At the same time, it is the projection and evidence of desire. The act of seeing a photograph is recalling something that does not exist any longer and making a fetish of my desire. In case of Lee Seung Jun’s photographs, replace ‘existence’ with ‘specific emotional state’ and ‘desire’ with ‘love’ in the previous sentence. In the changed sentence, we can read the artist’s <After Love>, can’t we?
In a word, I read Lee Seung Jun’s recent photographs as ‘I will be engraved on you as a mark of love.’ ‘I will be engraved on you as a mark of love’ means ‘I will be an unforgettable image to you’ rather than ‘I will be an existence to be loved by you.’ Here, ‘I’ does not refer to someone who was once my lover but is ‘a photograph.’ Not all photographs do so but some photographs engrave traces on the viewer’s heart, sense and perception. The photographs of Auschwitz concentration camp she saw for the first time in childhood did so to Sontag, and the photographs of Kafka in his childhood, whose eyes were strikingly similar to his during his young age, did so to Benjamin. If we translate Latin word ‘punctum,’ which was used by Barth to explain an element of photographs, it can be ‘engrave.’ Photographs engraved on the viewers are images but strong images that overwhelm the subject’s will, and contain special feelings but are ghost‐like feelings recalled from the past rather than present progressive ones. In this sense, Lee Seung Jun’s ‘photographs taken with broken‐up couples who were called up temporarily,’ are related not only to the matter of love or human relation but also to the matter of what photographs pursue. It is because ‘the desire of broken love,’ which wants my image to be engraved on her or his deep heart despite the ending of love and separation, is similar to what photographs pursue, namely, ‘securing the visibility of something that was over there once but does not exist any longer.’
We experience various feelings from diverse photographs including snapshots recording our personal life, artistic photographs reflecting artists’ aesthetic experiences or world views, and news photographs reporting public facts. It may sound circular logic but such various feelings are experienced because photographs stir up such feelings. However, most of ‘aesthetic feelings’ that we have mentioned with regard to ‘artistic photographs’ come more from the subjects of the photographs than from the medium of photograph. They are aesthetic feelings such as ‘the beauty’ of women’s nudes, ‘the spectacle’ of scenery and ‘the sublimity’ of nature. Of course, the aesthetic sense has been expanded to sexuality, grotesqueness and abjectness through the discourse of post‐modernity, but still we talk about the outside of photograph, namely, the subjects’ aesthetic sense.
Strictly speaking, however, the feeling we have from a photograph is not from our feeling on the subject but on the image. Nevertheless, we are easily mistaken that our feeling on a photograph comes from the subject because ‘a photograph’ takes the form of an image that comes to exist only when it is associated with the real object photographed. When there is nothing existing, photograph is impossible. Photographs cannot capture imaginations. Therefore, we are easily distracted by ‘something existing’ in photographs and deceived into believing that my mind is moved the something. It is like we see Lee Seung Jun’s photographs and feel ‘the empty seat of her/his mind left by broken love, although in fact we are being attracted by images captured at a millisecond by a mechanical instrument.

Kang, Su‐mi (Aesthetics)




  나는 너에게 사랑의 흔적으로 ‘각인’될 거야
- 이승준 사진에서 ‘깨진 사랑’의 지각

사진이란 매체는 근대 ‘과학’과 ‘기술’의 산물인 만큼 태생적으로 기술 합리성과 효율성을 제 1 원리로 둔다. 사진을 ‘기술적 재현’이나 ‘객관적 지표’로 정의하는 것은 그러한 과학기술적 원리에 기인해서이다. 그러니 우리가 한 장의 사진을 보며 그리움과 연민, 기쁨과 슬픔, 희열과 회한 같은, ‘복잡 미묘한 인간적 감정’에 휩싸이는 것은 그리 당연하지 않다. 오히려 우리는 단지 기계장치의 기계적 영상일 뿐인 사진을 보며 울고 웃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어떤 감정에 잠기는 우리 자신을 의아히 여겨야 한다. 사랑하는 그 또는 그녀를 대신하여 지갑이나 침대 머리맡에 그 연인의 사진을 고이 모셔놓고 이미지로 물신화하는 우리의 감정에 ‘난센스’라고 말해야 한다. 하지만 당신이나 나에게, 사진을 보며 어떤 감정을 느끼는 일은 숨쉬기만큼이나 자연스럽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우리는 자발적으로 사진을 ‘통해’ 어떤 사랑의 이미지, 어떤 특별하고 일회적인 감정 상태에 잠기고 싶어 한다. 사진이 현상한 과거의 한 순간에 다시 휩싸이기를 간절히 원한다. 우리가 지나간 한 순간의 이미지에 불과한 사진을 그토록 많이 찍고, 그토록 자주 들여다보고, 그토록 소중히 여겼던 이유가 거기 있다. 그리고 때로는 소중히 간직하던 사진을 찢어버리거나, 한 장밖에 없는 사진을 불태워버리는 이유도 실은 애증이나 덧없는 희망의 ‘감정을 촉발하는 사진의 힘’을 (마음과는 달리) 근절시키고 싶어서다.

이승준의 <After Love: Broken Up Couples Project>는 일단, ‘천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할 정도로 복잡하고 미묘하며, 때로는 이율배반적이기까지 한 인간의 감정을 ‘사진 찍히기’의 순간 속에서 포착해 내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그러나 좀 더 흥미로운 점은 그 ‘사진 찍히는’ 주체가 이미 사랑이 끝난 연인들(broken up couples)이라는 데 있다. 제목이 제시하듯 작가는 최근 사진작업의 중심 모티브를 ‘사랑이 끝난 후’로 정의하는데, 직설적으로 표현하자면 ‘깨진 사랑’이다. 유리처럼, 도자기인형처럼, 섬세했고 소중했으며 예뻤던 사랑의 감정이 깨진 ‘이후’를 작가는 잔인하게도 사진으로 담아내는 것이다.
<After Love> 작업이 잔인한 것은 하나, 이제는 돌이킬 수 없이 관계가 절연된 과거의 달콤하고 행복했던 연인들을 카메라 앵글 앞으로 불러 모았다는 데 있다. 둘, 그렇게 자의반 타의반 함께 사진을 찍게 된 ‘깨진 연애관계의 남/녀’가 어쩔 수 없이 풀어내는 감정의 희비쌍곡선 혹은 깊게 패인 감정의 골을 사진을 통해, 작가의 어떤 주관적 판단이나 개입 없이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데 ‘잔인성’이 있다. 그래서 <After love>는 사랑이 깨진 ‘이후’를 담은 말랑한 멜로물 같지만, 사랑이라는 감정을 ‘따라’ 재현해 우리 눈앞에 들이미는 냉정한 감정 보고서이다. 우리더러 사랑이라는 그 추상적인 감정의 현 실태를 읽어보라고 요구하는 보고서 사진.
따라서 우리는 이승준의 사진들을 누군가의 연애사건 후일담을 공개하는 과잉 친절하고 전 방위 선정적인 ‘싸이 월드 식’ 이미지가 아니라,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인간의 가장 민감하고 연약한 감정을 기계장치가 지표로서 재현해낸 ‘지각이미지’로 읽어야 한다. 우리의 강렬하지만 휘발성도 강한, 달콤하지만 씁쓸하기도 한, 행복하지만 엄청난 고통이기도 한 범속한 사랑의 감정을 느끼고, 인식하고, 깨닫도록 하는 지각이미지.
가령 <길음시장 이모네-조소영_서만동>은 작가의 제자와 옛 연인을 찍은 작품으로, 한때 엄청 살가운 관계였을 이 두 사람은 사진 속에서 ‘서로에게 낯설고 어색해 죽을 것 같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또 어떤 사진에는 아직 감정 정리를 미처 하지 못한 쪽이 다분히 애증 섞인 눈빛으로 상대방을 응시하는 데 정작 응시의 대상은 ‘피곤하다’는 제스처로 허공만 본다. 둘 다 감정의 불씨는 살아있는데 과거 자신들의 경솔한 이별을 이제 와서 무효로 할 수는 없어 새초롬하게 서 있는 커플도 있으며, 새삼스럽게 왜 이런 짓(요컨대 작가의 ‘예술작품’을 위해 피사체가 되어주는 일)을 ‘함께’ 해야 하는지 난감해 하는 커플도 보인다.
그런데 가장 이상하면서도, 모순되지만 그럴 듯해 보이는 ‘깨진 연인들’은 마치 자신들이 모델이라도 되는 양, 혹은 ‘인생이 모두 화보’라도 되는 양 카메라 앞에서 제대로 포즈를 취한 커플이다. 분위기가 알맞게 무르익어 보이는 파티장 전면에서 한 손에 칵테일을 들고 갈색 조명을 받으며 미소 짓는 여자와 그 뒤 댄디 패션의 남자에게서는 앞서 말한 범속한 사랑의 그 어떤 감정 편린도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고 이 깨진 커플의 감정이 비범해 보인다는 뜻도 아니다. 오히려 아무런 감정이 느껴지지 않거나 인공적인 겉모습만 보게 될 뿐이라는 의미다. 우리가 스타 연예인 남녀가 커플로 분한 광고이미지를 보면서 괜히 달뜨기는 할지언정 어떤 현실적 감정도 경험하지 못하는 것처럼. 그들의 이미지에서, 내가 겪은 사랑의 동질적 정서를 느끼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향한 허구적 욕망만 부추겨지는 것처럼.

이렇게 보면, 이승준의 <After Love>는 우리의 내밀한 사적 연애 감정만 필름 입자로 주조(casting)해내는 사진은 아닌 것 같다.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 자신이 하나의 기계장치 이미지로 변할 때, 또 우리가 어떤 재현된 이미지를 대할 때, 어떻게 반응하고 무엇을 욕망하는지를 스스로 깨닫도록 유도하는 사진이라 할 수도 있겠다. 사진은 존재(있음)의 흔적이고 지표이다. 그러나 또한 사진은 욕망의 투사이고 물증(物證)이다. 사진을 보는 행위는 이제는 더 이상 없는 존재의 불러냄이자 자기 욕망의 물신화이다. 이승준 사진의 경우, 앞선 문장에서 ‘존재’라는 단어를 ‘특정 감정 상태’로 바꾸고, ‘욕망’을 ‘사랑’으로 바꿔보라! 그렇게 바꾼 문장에서 그럴듯하게 이 작가의 <After Love>를 읽어낼 수 있지 않은가?
나는 요컨대 이승준의 최근 사진을 ‘나는 너에게 사랑의 흔적으로 각인될 거야’로 읽는다. ‘나는 너에게 사랑의 흔적으로 각인될 거야’는 ‘나는 네게 사랑받는 존재가 될 거야’가 아니라 ‘나는 네게 잊히지 않는 이미지가 될 거야’이다. 여기서 ‘나’는 과거 한때 연인이었던 누군가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진’이다. 분명 모든 사진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어떤 사진은 보는 이의 가슴에, 감각 지각에 흔적으로 각인된다. 손탁에게는 소녀시절 처음 본 아우슈비츠 수용소 사진이 그랬고, 벤야민에게는 자신의 유년시절과 너무도 비슷한 눈을 하고 있는 카프카의 소년기 사진이 그랬다. 바르트가 ‘푼크툼(punctum)’이라는 라틴어로 말한 사진의 한 요소를 달리 풀어보자면 이 ‘각인’일 것이다. 보는 이에게 각인되는 사진들은 이미지이되 주체의 의지를 넘어서는 강력한 이미지인 것이고, 특수한 감정을 담고 있되 현재 진행형이 아니라 완벽히 과거로부터 불러내진 유령 같은 감정이다. 이렇게 해서 이승준의 ‘사랑이 깨진 연인들을 일시적으로 불러 모아 찍은 사진’은 연애 혹은 인간관계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진 자체가 지향하는 것이 무엇이냐는 문제와 연관된다. 더 이상 사랑하지 않아 헤어졌더라도 언제나 그/녀의 심신 깊숙한 곳에 자신의 이미지가 새겨지기를 바라는 ‘깨진 사랑의 욕망’이란 결국 ‘언젠가 거기 있었으나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가시적인 차원에서 ‘고착’시켜두려는 사진의 지향성과 유사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신의 사적 삶을 기록한 스냅사진에서부터 작가의 미적 경험이나 세계관을 반영한 예술사진, 또 공적 사실을 보고하는 각종 자료사진을 보면서 매우 다양한 감정을 경험한다. 순환논리 같지만, 이렇게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는 것은 사진이 그러한 감정을 촉발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가 ‘예술사진’에 대해 언급했던 거의 대부분의 ‘미적 감정’은, 사진이라는 매체 자체와 결부된 감정이라기보다는 사진 외부의 대상, 즉 피사체로부터 유발된 감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여성 누드의 ‘아름다움’, 풍경의 ‘장관(spectacle)’, 자연의 ‘숭고’ 등이 그런 미적 감정들이다. 물론 포스트모더니티 담론과 더불어 ‘야함(sexuality)’, ‘기괴함(grotesqueness)’, ‘비속함(abjectness)’으로 미의식이 확장되었다 할지라도, 여전히 우리는 사진의 외부, 피사체의 미적 감정에 대해 얘기한다.
그러나 엄격히 말해, 우리가 한 장의 사진을 보면서 느끼는 감정은 피사체에 대해서 갖게 되는 감정이라기보다는 바로 그 이미지로부터 촉발된 감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진에 대한 우리의 감정이 피사체 때문에 발생한다고 쉽게 착각할 수밖에 없는 것은, 그만큼 ‘사진’이 사진 찍히는 실제 대상과 필연적 관계를 맺어야 비로소 존재하는 이미지형식이기 때문이다.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을 때, 사진은 불가능하다. 사진은 상상을 찍지 못한다. 그러니 우리는 사진에 담긴 ‘실재하는 무엇’에 자꾸 눈이 팔려 내 마음이 그 때문에 움직이고 있다고 속아 넘어가는 것이다. 이승준의 사진을 보면서 우리가 ‘사랑이 깨져버린 그/녀의 마음자리’를 느끼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사실은 몇 천분의 1초로 만들어진 기계장치 이미지에 끌리고 있는 것인데도.

강 수 미 (미학)